http://www.brainbox.co.kr/community/board_view.asp?id=17245&boardname=myreview
DNS-323 사용기 D-Link 네트워크 스토리지 DNS-323 사용기 입니다. 먼저 제품 사양을 살펴보겠습니다. 주요 기능 : | ||
- 2개 SATA 하드 드라이브 베이 - 기가 이더넷 지원 - 내장형 FTP 서버 및 웹서버 , SMTP , iTunes , VPNP AV 서버 탑재 - 사용자와 그룹마다 저장공간 할당 - USB(2.0) 프린터 서버 지원 - Raid 0.1 지원 |
제품 설명 : |
주요기능 2 개의 3.5 인치 SATA-standard 하드디스크 장착 가능 10/100/1000 Gigabit Ethernet Port USB Print Server Port 인터넷, 내부네트워크 통한 안전한 파일 공유 DNS-323 2-Bay SATA 네트워크 스토리지는 문서, 이미지, 영상 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에 연결이 되어 있다면 탑재되어 있는 FTP 서버 솔루션을 통하여 데이터에 대한 접근이 가능합니다. 이러한 용이한 접근성 뿐만 아니라 데이터에 대하여 그룹별, 사용자별 보안 설정이 가능하여 읽기, 쓰기, 읽기/쓰기의 권한을 부여할 수 있습니다. UPnP 호환 장비와의 연동으로 디지털 매체 활용 가능 음악, 사진, 동영상 등을 저장해 둘 경우, D-Link MediaLounge 와 같은 UPnP 지원 장비가 있으면, 사용자가 컴퓨터를 켜야 하는 불편함 없이 바로 저장장치에 접근하여 해당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. 데이터 보호, 성능, 확장성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Standard, JBOD, RAID 0, RAID 1 와 같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여러가지 하드 디스크 모드를 지원합니다. 해당 모드에 따라 파일의 저장 방식을 달리 하여 데이터의 무결성 및 안정성을 제공합니다. 지원 표준 규격 IEEE 802.3 IEEE 802.3u IEEE 802.3ab PORTS 10/100/1000 Gigabit Ethernet Port USB Print Server Port Power E-mail 알림 Defrag 전원 관리 장치 관리 Internet Explorer v6 or other Java-enabled browser ![]() |
2개의 SATA 하드를 연결할 수 있는 제품이고 기가비트 네트워크를
지원하고 있습니다.
저는 삼성 500GB 하드 2개를 연결하여 사용해보겠습니다.
설치환경

인터넷 공유기는 DIR-100 이고 PC 2대와 DNS323을 연결하였습니다.
먼저 DNS 323 설정에 대한 설명을 한 후에 성능 테스트를 하도록 하겠습니다.
DNS-323 설정
공유기와 DNS-323을 연결하고 제품과 같이 제공되는 easy_search 프로그램을 실행하면
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.
설치된 DNS-323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DNS-323에 설정된 이름과 IP주소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
로컬네트워크에 설치된 DNS-323은 하드디스크와 같이 매핑하여 사용할 수
있습니다. 저는Y드라이브로 인식하여 사용하고 있습니다.
이제 IP주소도 확인 했으니 본격으로 셋팅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.^^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1.SETUP
1.인터넷 익스프롤러를 열어 중지를 누릅니다.
2. easy_seach를 통해 확인된 ip주소를 입력한다.
3. username 에 admin 입력하고 configuration 버튼을 눌러 접속합니다.
이제 DNS-323으로 접속이 되었습니다. 이제 각 메뉴를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.
그림 먼저 보고 아래 설명을 간략하게 하겠습니다.
장비에 대한 기본적인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. 위자드 셋업으로 꼭 필요한 정보를 순서에
따라 입력할 수 있습니다. Run Wizard 버튼을 누르면 아래와 같이 나옵니다.
재시작 하면 설정된 값들이 저장이 됩니다.
장비의 IP주소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. 저는 인터넷공유기를 사용하고 있지만
FTP서버로 운영을 하기위해 고정된 IP주소를 할당했습니다.
장비에 이름 및 작업그룹 설정입니다. 저는 작업그룹이 WORKGROUP로 되어있습니다.
2.ADVANCED
이 메뉴는 사용자를 등록하거나 그룹으로 사용자를 관리할 수 있는 곳
입니다. NAS는 많은 사용자가 동시에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각각의 계
정을 관리하거나 그룹으로 묶어서 권한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. 모두 공
유가 가능한 데이타 라면 계정을 만들 필요가 없겠지만 중요한 데이타
를 다루는 곳이라면 계정을 등록하여 관리를 해야 보안사고를 막을 수
있습니다. 이 곳에 등록된 계정으로 FTP 사용자도 관리하고 그룹별로
사용량 제한등을 하기 때문에 중요한 메뉴라고 할 수 있습니다.
사용자 계정이 많은 경우는 반드시 설정 정보를 백업하는 것을 잊지 말
아야 하겠습니다.
사용자 및 그룹별로 사용량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.
사용자나 그룹별로 권한을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.
읽기만 가능하거나 읽고 쓰기가 가능하도록 설정할 수 있습니다.
FTP 서버 설정 메뉴 입니다.
최초 등록했던 사용자나 그룹에 등록된 사용자가 외부에서 FTP로 접속
하여 파일을 올리거나 읽어볼 수 있습니다.
UPNP AV 서버 설정 메뉴 입니다.
iTunes 서버 설정에 관한 메뉴 입니다.
DHCP 서버 기능입니다. 요즘은 거의 다 공유기를 사용하고 있으므로
이 기능을 사용할 일은 거의 없을 것 같습니다.
LLTD를 사용하겠는지에 대한 메뉴 입니다. 설명은 위에.....
3. TOOLS
관리자 계정 관리 메뉴 입니다.
장비에 시간 설정을 할 수 있는 메뉴 입니다. NTP 서버로 부터 시간을
받아 오거나 내 컴퓨터 시간과 동기화 시킬 수 있습니다. 수동으로
입력도 가능합니다.
시스템을 재시작 하거나 초기화 할 수 있는 메뉴 입니다.
제품을 끄고 싶을 때 shutdown 버튼을 누르면 됩니다.(본체의 버튼을
길게 눌러도 정지됨)
펌웨어에 설정된 내용을 파일로 저장하거나 불러올 수 있습니다.
사용자 계정이 많은 경우 반드시 설정을 파일로 저장하여 잘 보관해야
복잡한 작업을 줄일 수 있습니다.
제품의 펌웨어를 업그레이드 할 수 있습니다.
펌웨어 파일은 www.d-link.co.kr 이나 www.dlink.com 사이트에 받을 수 있습니다.
장비에 상태를 이메일로 받을 수 있습니다. 디스크 문제나 시스템에 중
요한 문제가 발생했을 때 이메일로 알려주도록 설정할 수 있습니다.
전원 관리 입니다. 사용하지 않을 때 꺼 놓도록 할 수 있습니다.
RAID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.
Standard (Individual Disks) = 보통 상태로 사용한다.
JBOD (Linear - Combines Both Disks = 2개의 HDD를 1개로 인식하여
사용한다.
RAID 0 (Striping - Best Performance) = 데이타를 분산저장하여
속도를 높인다.
RAID 1 (Mirroring - Keeps Data Safe) = 2개의 HDD에 같은 내용을
저장한다.
설정을 하고 난 후에는 HDD를 포멧하게 됩니다. (약간의 시간 소요)
DDNS 서비스를 신청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.
DNS-323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에 유동IP로 접속이 어려운 경우
DDNS를 이용하여 어디에서든 쉽게 접속할 수 있습니다.
4. STATUS
제품의 상태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
이상으로 설정에 대한 설명을 모두 마치겠습니다.
NAS 라고 해서 어려울 것 같았지만 생각보다 간단합니다.
사용자가 많아지면 계정관리 등이 복잡할 수 있겠지만
이 제품이 대기업 사용자들 보다는 소규모 사용자나 네트워크저장장치
가 필요한 개인유저에게 많이 판매될 제품이라 생각되기 때문에 특별
히 복잡하거나 어렵게 생각할 필요가 없다고 생각합니다.
아래는 전송속도에 관한 짧은 테스트 입니다.
대용량 파일(1.40GB (1,508,190,208 바이트)(동영상 아님;;;)전송시
소요된 시간
공유기를 통해 연결 DNS-323 연결 (100Mbps) 3분 19초
PC 기가랜카드와 DNS-323 기가랜으로 바로 연결 : 1분 35초
PC 기가랜카드와 DNS-323 기가랜으로 바로 연결 with Jumbo Frame 설정 (7K)/1000Mb로 고정 :1분 22초
총평
설치가 간단한 DNS323은 소규모 사업장에서 하나쯤 꼭 필요한 제품이
라고 생각됩니다.
여기저기 저장된 데이타를 한 곳에 모을 수 있다는 장점과 그것으로 인
해 업무 효율이 올라 간다면 이 정도 금액의 투자는 할만하다고 생각합
니다.
위에 속도테스트에서 본 것과 같이 최근 기가비트 네트워크를 사용하
고 있는 사업장이 많은 만큼 JUMBOFRAME 기능을 같이 사용한다면 많
은양의 데이타도 빠르고 손쉽게 백업하고 공유할 수 있습니다.
다음 편에는 자동백업 소프트웨어인 MEMEO를 이용한 백업을 해보도
록 하겠습니다.
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.
HTTP://WWW.LANJANGBI.CO.KR
김종수
DNS-323 핵펌 자료
http://forum.dsmg600.info/f3-DNS-323-General-Discussion.html
DNS-323 활용TIP 입니다.
사이트를 방문해 주세요. http://secrice.com/search.php
DNS-323 mldonkey 다운로드 완료후 core 죽이기 | 227 hit | 2008/05/30 14:38 | 최광용 | ||
![]() | DNS-323 펌웨어 업그레이드 1.04 -> 1.05 | 309 hit | 2008/05/14 19:27 | 최광용 | |
DNS-323 펌웨어 업데이트 되었습니다. (1.05) | 281 hit | 2008/05/14 16:55 | 최광용 | ||
dns-323에 대해서 [2] | 561 hit | 2008/04/26 15:08 | 네모필라 | ||
DNS-323 wake on lan을 통한 다른 컴퓨터 사용 [2] | 485 hit | 2008/04/07 10:57 | 최광용 | ||
DNS-323 time zone 및 시간 설정 (ffp 0.5 + chroot) [4] | 462 hit | 2008/03/26 08:57 | 최광용 | ||
DNS-323 원격지에서 공유 폴더 접근 (ssh tunneling) [8] | 777 hit | 2008/03/25 16:19 | 최광용 | ||
DNS-323 debian사용 및 open sshd 서버 설치 [4] | 490 hit | 2008/03/25 15:48 | 최광용 | ||
DNS-323 mldonkey (torrent, edonkey) 사용하기 [3] | 629 hit | 2008/03/25 09:32 | 최광용 | ||
DNS-323 lighttpd 웹 서버 사용하기 | 528 hit | 2008/03/24 14:51 | 최광용 | ||
DNS-323 일정 온도 이하에서 fan 멈추게 하기 [2] | 249 hit | 2008/03/24 14:12 | 최광용 | ||
DNS-323 파일 시스템 관리와 cleanboot [3] | 367 hit | 2008/03/24 11:21 | 최광용 | ||
DNS-323 ffp(fonz fun_plug) 0.5 패키지 설치 [4] | 522 hit | 2008/03/24 09:45 | 최광용 | ||
DNS-323 telnet 접속 | 482 hit | 2008/03/22 00:45 | 최광용 | ||
DNS-323 하드디스크 RAID/파티션 설정 | 681 hit | 2008/03/19 11:45 | 최광용 | ||
DNS-323 구입 후 설치 및 설정 [2] | 857 hit | 2008/02/13 09:33 | 최광용 |
'IT & Network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구글링 잘 하는 방법 (0) | 2013.04.15 |
---|---|
WDS 설정(ipTime 기준) (0) | 2011.05.16 |
LG NAS NS1 (NS2) 소개 (0) | 2010.11.14 |
MeGui 설치법/사용법 (0) | 2010.11.07 |
트위터: 입문자를 위한 강좌 (0) | 2010.07.26 |